js 배우기
js를 배워보자
노마드 코더 무료강의를 듣고있습니다.
변수 선언
코드를 적게 쓰는것이 에러도 적고 시간도 덜 걸린다.
const a = 10;
const myName = "Jinwon"
console.log(a);
console.log("hello" + myName);
변수이름에는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 카멜 표기법을(Camel case) 사용한다.
myName, veryLongVarableName
const and let
const : constant 값을 바꿀수가 없다. 바꾸지 않을, 바꿔서는 안되는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
let : const 변수가 아닌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
const a = 10;
let myName = "jinwon";
console.log(a + myName);
myName = "Hanjinwon";
console.log(a + myName);
a = 7; // 오류발생
기본적으로 대부분 변수는 const를 사용하고
필요할 때만 let을 사용한다.
const 선언을 통해서 실수로 변수를 바꾸는 것을 막을 수 있다.
Boolean
true or false
const amIUgly = false;
let something;
console.log(amIUgly);
console.log(something); // undefined 출력
true, false, null, undefined 는 데이터 타입이다.
null 은 자연적으로 발생하지않는다. 변수의 값이 비어있는지를 알려기 위해 사용한다.
undefined 변수가 메모리에 할당 되었지만 값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초기화 되지않은 변수
배열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를 하나로 묶는 데이터구조
변수안에 데이터의 리스트를 가지는 것
const mon = "mon";
const tue = "tue";
const wed = "wed";
const thu = "thu";
const fri = "fri";
const sat = "sat";
const daysOfWeek = [mon, tue, wed, thu, fri, sat];
console.log(daysOfWeek);
//배열 요소에 접근하기
console.log(daysOfWeek[0]); // mon 출력 내일월요일ㅋ
//요소 추가하기
daysOfWeek.push("sun"); // push는 함수
Object
여러가지 속성을 가진 변수
const player = {
name : "jinwon",
points : 10,
fat : true
};
console.log(player);
console.log(player.name);
console.log(player["name"]);
player.fat = false;
player.height = 273;
object를 선언할때 const로 선언했지만
object의 속성값을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
새로운 속성값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